2011년 4월 11일 월요일

'아더', 도대체 왜 리메이크를 한 거냐?

1982년 열린 5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과 주제곡상을 받은 영화가 있다. 영국 코메디언 더들리 무어(Dudley Moore) 주연의 1981년작 로맨틱 코메디 '아더(Arthur)'다.

오리지날 '아더'가 개봉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인 2011년, 리메이크작이 개봉했다.

그렇다면 1981년 오리지날과 2011년 리메이크작의 차이는 무엇일까?

일단 줄거리는 같다. 부잣집 아들 아더가 맘에 들지 않는 부잣집 딸 수잔과 정약결혼을 하게 되는데, 길에서 우연히 마주친 평범한 여성과 사랑에 빠지면서 '돈이냐, 아니면 진정한 사랑이냐'를 놓고 갈등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번엔 출연진을 '오리지날 vs 리메이크'로 비교해 보자.

주인공 아더부터 시작하자면, 왼쪽이 오리지날에서 아더 역을 맡았던 더들리 무어이고 오른쪽이 리메이크의 러셀 브랜드(Russell Brand).


1981년 오리지날에선 아더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캐릭터, 합슨(Hobson)이 남자였는데 2011년 리메이크에선 여자로 바뀌었다.

아래 이미지 왼쪽은 오리지날 '아더'에서 합슨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은 영국 배우 존 길구드(John Gielgud). 오른쪽은 리메이크에서 합슨 역을 맡은 헬렌 미렌(Helen Mirren).


성별이 바뀐 건 합슨이 전부가 아니다. 오리지날에선 아더의 아버지가 나왔지만 리메이크에선 어머니로 바뀌었다.

아래 이미지 왼쪽은 오리지날에서 아더의 아버지 역을 맡았던 토마스 바버(Thomas Barbour). 오른쪽은 리메이크에서 아더의 어머니 역을 맡은 제랄딘 제임스(Geraldine James).


아더의 정약결혼 상대인 부잣집 딸 캐릭터는 오리지날과 리메이크 모두에서 변함없이 이름이 수잔이다. 차이가 있다면, 오리지날 영화에선 수잔의 비중이 작았던 데 비해 2011년 리메이크에선 그녀의 비중이 커졌다는 정도가 될 듯 하다.

아래 이미지 왼쪽은 오리지날 영화에서 수잔 역을 맡았던 질 아이켄베리(Jill Eikenberry). 오른쪽은 리메이크에서 수잔 역을 맡은 제니퍼 가너(Jeniffer Garner).


바람둥이에 술주정뱅이인 아더를 한 번에 사랑에 빠뜨리게 만드는 여자 캐릭터는 비슷하면서도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이들이 곤경에 빠졌을 때 아더로부터 도움을 받는 설정은 같지만, 리메이크에선 캐릭터 비중이 오리지날보다 작아졌다.

아래 이미지 왼쪽은 오리지날에서 린다 역을 맡았던 라이자 미넬리(Liza Minnelli). 오른쪽은 리메이크에서 나오미 역을 맡은 그레타 거윅(Greta Gerwig).


제법 유명한 배우들이 많이 보인다고?

그렇다.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헬렌 미렌, ABC TV의 인기 시리즈 'Alias'로 유명한 제니퍼 가너, 그리고 위에서 소개되지 않았지만 닉 놀테(Nick Nolte)도 영화에 나온다.

그렇다면 2011년 리메이크도 1981년 오리지날이 했던 것처럼 조연상과 주제곡상을 받을 수 있을까?

기적이 벌어지지 않는 한 힘들 듯 하다.

'아더' 리메이크는 한마디로 재앙수준에 가까운 영화였다. 러셀 브랜드에 아더 역을 맡긴 것부터 문제였다. 오리지날의 더들리 무어도 아더 역에 썩 잘 어울렸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러셀 브랜드는 더욱 어울리지 않았다. 러셀 브랜드 버전 아더는 부잣집 망나니 아들이 아니라 백인버전 크리스 락(Chris Rock)처럼 보일 뿐이었다.

오리지날 영화 스토리부터 유치하고 진부한 내용이었므로 리메이크에서도 크게 나아질 수 없었다. 돈을 택하고 계획대로 부잣집 딸과 결혼할 것이냐, 아니면 돈을 포기하고 진정한 사랑을 선택할 것이냐는 것처럼 결론이 이미 나와있는 얘기도 없기 때문이다. '사랑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돈의 유혹을 뿌리치고 진정한 사랑을 택한..' 등등의 글짓기를 하기에 딱 알맞은 매터리얼이지만, 픽션의 판타지 세계에선 돈대신 사랑을 택하고, 현실세계에선 돈을 택하게 된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없을 테니 말이다.

불행중 다행이었던 건, 리메이크 버전 '아더'를 보면서 이런 걸 생각할 필요가 없었다는 점이다. 오리지날에선 아더가 돈이냐, 사랑이냐를 놓고 갈등하는 모습을 그런대로 보여줬지만, 2011년 리메이크에선 아더의 망나니 짓과 그가 결혼하기 싫어하는 부잣집 딸 수잔과 벌이는 신경전으로 관객들을 웃기려는 게 대부분이었다. 그레타 거윅이 맡은 나오미는 오리지날에서 라이자 미넬리가 맡았던 린다에 비해 존재감이 작았고, 합슨(헬렌 미렌)과 수잔(제니퍼 가너)에게도 밀렸다. 미넬리의 린다는 오리지날 영화의 여주인공이었지만 거윅의 나오미는 그런 레벨의 캐릭터가 아니었다.

나오미(그레타 거윅)는 아더(러셀 브랜드), 합슨(헬렌 미렌), 수잔(제니퍼 가너)에 밀려 오피셜 포스터에 포함되지 않았다(아래 사진 왼쪽). 물론 그녀까지 포함된 다른 포스터(아래 사진 오른쪽)도 있지만, 거윅이 포함되지 않은 왼쪽 포스터가 먼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에 빛나는 헬렌 미렌 역시 기대에 못 미쳤다. 합슨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꾸면서 헬렌 미렌에게 그 역할을 맡긴다는 아이디어 자체는 그리 나쁘지 않았다. 오리지날이 'Father and Son' 이야기였으니 리메이크는 'Mother and Son'으로 바꿔보겠다는 것까지는 좋았다. 그러나 미렌의 리메이크 버전 합슨은 오리지날의 합슨(존 길구드)처럼 유머와 감동을 주는 캐릭터가 아니었으며, 아더와 손발이 맞지 않아 보이는 게 어딘가 어색해 보였다. 한마디로 말해서 'NOT GELLING'이었다. 미렌이 연기한 합슨이 어떠한 역할을 맡은 캐릭터라는 것은 알겠는데 거기까지가 전부였을 뿐 느껴지는 게 아무 것도 없는 무미건조한 캐릭터였다. 영화가 대재앙의 구렁에 빠져들어도 헬렌 미렌이 어느 정도 끌고 나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다 같이 들어가더라.

아니, 제법 유명한 영화배우들을 저렇게 많이 끌어왔는데도 영화가 그렇게 한심했단 말이냐고?

그렇다. 처절할 정도였다.

왜 이렇게 됐냐고?

간단하다. 1981년 영화 '아더'가 대단한 영화는 아니더라도 알 만한 사람들은 알고 있을 만큼의 인지도는 있는 영화이므로, "그 영화를 30주년 기념으로 리메이크했는데 이러이러한 유명 배우들이 출연한다"고 선전하면 영화관객들이 쉽게 낚일 것으로 계산하고 만든 영화이기 때문이다. 퀄리티보다는 네임밸류로 반짝 재미를 보려던 영화라는 것이다.

이런 영화는 무조건 피하는 게 돈낭비, 시간낭비 하지 않는 것이다. 30년전 오리지날 '아더'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2011년 리메이크를 건너뛰고 '아더' DVD를 구입하는 게 더 나을 것이다. 오리지날 '아더'를 보지 못했지만 제목 정도는 들어본 적이 있어서 이번 2011년 리메이크에 호기심이 끌린다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리메이크를 건너뛰고 오리지날을 찾아 보는 게 차라리 나을 것이다. 오리지날도 아주 잘 된 영화는 아니지만, 적어도 2011년 리메이크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훨씬 나으니까.


자, 그럼 마지막으로 사운드트랙을 둘러볼 차례다.

1981년 오리지날 영화는 크리스토퍼 크로스(Christopher Cross)가 부른 주제곡 'Arthur's Theme (Best That You Can Do)'로 유명하다. 어떻게 보면 영화보다 주제곡이 더 유명하다고 할 수도 있다. 아카데미 주제곡상까지 받았으니까.

그렇다면 너무나도 유명한 80년대 팝 발라드 'Best That You Can Do'를 들어보자.


바로 이 로맨틱한 주제곡을 기억하면서 2011년 리메이크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관으로 향햐는 사람들도 꽤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람들에게 딱 한마디만 하겠다: "FREEZE!"

물론 저 노래는 이번 리메이크작에도 나온다. 음악이라는 게 참 묘한 것이, 영화가 상당히 우스꽝스러웠는 데도 귀에 익은 인스트루멘탈이 흐르니까 모든 불만이 싹 가셔지더라.

그.러.나...

엔드 크레딧에 나온 보컬 버전은 고개를 젓게 만들었다. Fitz and The Tantrums라는 밴드가 다시 불렀는데, 차라리 아니 하는 게 나았겠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영화 사운드트랙 앨범에 수록된 Fitz and The Tantrums 커버보다 차라리 Romina Arena가 부른 게 더 나아 보인다. Fitz and The Tantrums의 노래는 유투브에 (아직) 없는 듯 하니 그 대신 Romina Arena 커버를 한 번 들어보자.


Fitz and The Tantrums가 부른 'Arthur's Theme'은 여기서 들어볼 수 있다. 맨 아래에 있는 곡이다.


비록 'Artur's Theme' 리메이크는 약간 수상했어도 과거의 그 노래를 연상시키는 다른 곡이 있다. 왠지 80년대 발라드를 생각나게 하는 곡이 있다. Daniel Merriweather가 부른 'Dazed'가 바로 그 곡이다. Daniel Merriweather가 부른 또 다른 곡 'Can't Buy You'도 나쁘지 않다. (이 곡들 모두 위에 있는 아마존 위젯에서 들어볼 수 있다.)

물론 썩 맘에 드는 곡들은 아니다. 하지만 이 정도면 2011년 리메이크 버전 사운드트랙은 그런대로 들을 만 하다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저 곡들이 흘러나오는 파트에서 노래에 귀를 기울이게 만들 정도는 됐다.

하지만 영화에선 기억에 남는 게 없는 것 같구랴...

댓글 6개 :

  1. 일단 주인공이 무슨 노숙자처럼 생겻는데요.ㅋㅋ
    전혀 부잣집 아들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주제곡도 거의 재앙이네요~

    버트 바카락의 오리지널 곡에 비하면 한참 떨어지는 군요.

    국내개봉하면 절대 보지 말아야겠습니다.^^

    다음주에 개봉하는 더 패스트 앤 더 퓨리어스 나 봐야겠습니다.
    차라리 킬링 타임으로 그 영화 보면서 아드레날린이나 서지 시키는 게 낳을 듯 합니다.ㅋㅋ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2. 근데 바로 그 노숙자가 미국의 여자 팝가수 케이티 페리와 결혼했다는군요...
    희망적인 얘긴지, 희망없는 얘긴지 잘 모르겠...^^

    아, 이번에 나오는 패스트 파이브 말씀이시군요.
    아무래도 저도 또 보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이상하게 그 시리즈엔 정이 안 가요...ㅋ

    답글삭제
  3. 색깔이 바뀌었네요? ㅎㅎㅎ
    이 색도 맘에 드는걸요?
    진짜 평을 보니, 제가 정말 싫어할만한 영화입니다. ㅋㅋㅋ
    로미나 아레나 노래는 괜찮은 것 같은데요.
    Fitz and The Tantrums 버전은 완전 꽝입니다. ㅋㅋㅋ

    답글삭제
  4.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더라구요.
    영화 마지막까지 어떻게 버텼는지 모르겠습니다...^^

    로미나가 부른 것도 썩 내키진 않아도 그런대로 오케이지만,
    Fitz가 부른 건 정말 꽝이죠?ㅋㅋㅋ

    답글삭제
  5. 오리지널보다 리메이크를 먼저 접했고
    영화도 음악도 나쁘지 않았다는 인상을 받은 입장으로써
    이 글을 읽었는데..
    글쎄요
    글은 꽤 장황한데 정작 왜 별로인지, 무엇이 하자인지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은 없고 뜬 구름 잡는 듯한 주관만 있네요. 그냥 원래것이 좋았기 때문에 나중것은 별로다라는 의미로밖에는 안 읽어져요. 텃세부리는것 처럼요.

    답글삭제
    답글
    1. 이 영화를 보고 나쁘지 않다는 인상을 받은 사람도 있군요.
      내용, 캐릭터 등등 맘에 안 든 부분을 설명했지만 그건 주관적이라 싫다면 뭐 할 말 없겠죠.
      이 영화는 오리지널과 리메이크 중 어느 걸 먼저 봤든 평가에 차이가 날 수 없습니다.
      무조건 원작을 우수하다고 치켜세운다는 쪽으로 몰고가려해도 이 영화에선 곤란하죠...^^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