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28일 금요일

'레 미제라블', 영화 제목이 너무 과하게 와 닿았다

2012년 크리스마스엔 19세기 배경의 영화 두 편이 나란히 개봉했다. 하나는 남북전쟁 발발 직전의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한 스파게티 웨스턴, '장고 언체인드(Django Unchained)'이고 다른 하나는 프랑스 혁명이 진행중이던 19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뮤지컬 '레 미제라블(Les Miserables)'이다.

그렇다. 하나는 피 튀기는 스파게티 웨스턴이고, 다른 하나는 유명한 스테이지 뮤지컬을 영화로 옮긴 장 발장 뮤지컬 영화다.

개인적으로 시대물을 싫어하는 편이지만 2012년 연말엔 선택의 여지 없이 19세기 배경의 시대물을 내리 보게 됐다. 얼마 전에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 감독의 '링컨(Lincoln)'도 봤으니 금년 연말은 19세기와 함께 보낸 셈이 됐다.

자, 그렇다면 이번엔 휴 잭맨(Hugh Jackman), 러셀 크로우(Russell Crowe), 앤 해서웨이(Anne Hathaway) 주연의 스테이지 뮤지컬 리메이크 '레 미제라블'를 살짝 들여다보기로 하자.

프랑스 작가 빅터 휴고(Victor Hugo)의 소설 '레 미제라블'이 워낙 유명한 만큼 긴 설명이 필요없을 것이다. 아마도 아무 것도 모르던 어렸을 때 '장발장'이란 제목의 세계명작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레 미제라블'을 처음 알게 된 사람들이 많으리라 본다. '레 미제라블'이라는 원제보다 '장발장'이라는 제목이 더 친숙하게 들리는 이유도 거기에 있는 듯 하다. 이제 와서 다시 보면 어린이용 책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그래도 '장발장' 하면 왠지 어렸을 적이 생각나는 게 사실이다.

금년 크리스마스에 개봉한 유니버설 픽쳐스의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은 지난 80년대에 제작되어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스테이지 뮤지컬 '레 미제라블'을 영화로 옮긴 작품이다. 빅터 휴고의 소설을 새롭게 영화로 각색한 것이 아니라 스테이지 뮤지컬을 기초로 한 영화인 것이다.

과연 영화 버전 뮤지컬도 스테이지 버전 못지 않은 걸작이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NO"다.

'레 미제라블'을 보면서 가장 적응하기 어려웠던 건 대사가 전부 노래라는 점이었다. 뮤지컬 영화인 만큼 노래를 부르는 씬이 자주 나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대사를 100% 노래로 하는 것에는 적응하기 무척 어려웠다. 노래를 부를 때만 부르고 나머지는 평범한 대화로 채웠다면 문제될 게 없었겠지만, 영화의 등장 캐릭터들이 입을 열기만 하면 노래를 하는 것을 맨정신으로 보는 데 한계를 느꼈다. 뮤지컬 영화를 특별히 좋아하진 않아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 '사운드 오브 뮤직(Sound of Music)', '올리버(Oliver)' 등과 같이 대화와 노래가 섞여서 나오는 뮤지컬은 별다른 트러블 없이 볼 수 있는 반면 '셸브르의 우산(The Umbrellas of Cherbourg)' 등과 같이 대사가 100% 노래인 뮤지컬 영화는 진지하게 보기가 무척 힘들었는데, 아이그마니나, '레 미제라블'이 딱 그런 뮤지컬 영화였다.

스테이지 뮤지컬에선 모든 대사를 노래로 하더라도 썰렁하지 않다. 라이브 스테이지 공연이라는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영화에서 그렇게 하면 대단히 썰렁한 것이, 무언가 단단히 잘못된 것처럼 보인다. 술에 취했거나 정신이 이상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노래하듯 대화를 하는 사람을 보기 힘들므로 지나치게 비현실적이고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스테이지 뮤지컬을 기초로 한 영화인 만큼 스테이지 뮤지컬을 보듯 영화를 감상할 수 없었냐고?

왜 안 그랬겠수? 안 그래도 노력을 했다. 그러나 '영화는 영화이고 스테이지 뮤지컬은 스테이지 뮤지컬일 뿐'이라는 생각만 머릿속에서 맴돌 뿐 맘처럼 되지 않았다.

오리지날 스테이지 뮤지컬에 충실하게 영화로 옮기려 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럴 바엔 스테이지 뮤지컬 공연을 그대로 촬영해서 영화관에서 틀어주지 그랬냐'는 생각이 들었다. 차라리 그렇게 했더라면 이번에 개봉한 영화보다 더 나았을지도 모른다. 라이브 공연을 녹화한 것을 다시 틀어주는 것에 불과하겠지만, 적어도 '대사가 전부 다 노래인 좀 이상한 영화를 보는 것 같다'는 어색한 기분은 들지 않았을 테니 말이다.

아무리 스테이지 뮤지컬을 기초로 한 영화라 해도 굳이 대사를 100% 노래로 만들 필요까진 없었다. 스토리는 대화로 진행하면서 필요한 부분에서만 중요한 노래를 부르는 쪽으로 해도 별 문제 없었을 것이다. 대화 씬에선 일반 영화처럼 보이다가 노래를 부르는 파트에선 뮤지컬로 바뀌는 식으로 영화와 뮤지컬 모두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만들었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여기에서부터 문제가 생기자 영화를 제대로 볼 수 없었다. '노래 대사'에서 문제가 생기면 영화를 진지하게 보는 자체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이미 분위기가 깨져버린 바람에 등장 캐릭터들이 부르는 애련한 노래들도 전혀 와닿지 않았다. '레 미제라블' 스테이지 뮤지컬에 나왔던 똑같은 곡들이 영화에 사용되었으나 느낌이 완전히 달랐다. 아무래도 영화 버전인 만큼 극적인 감동이 스테이지 버전보다 더 크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분위기가 깨진 때문인지 완전 맹탕이었다. '레 미제라블'과 같은 뮤지컬 영화에선 등장 캐릭터들이 유명한 노래를 부를 때마다 진한 감동이 밀려와야 하는데, 이미 분위기가 망가진 바람에 등장 캐릭터가 스크린 속에서 눈물, 콧물 다 쏟으며 통곡을 하면서 노래를 불러도 전해오는 게 아무 것도 없었다.

대화를 나누다가 결정적인 순간 유명한 음악이 흘러나왔다면 감동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더 커졌을 것이다. 곡들도 귀에 쏙쏙 들어왔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 '레 미제라블'은 영화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노래가 끊이지 않은 바람에 중요한 곡들도 '논스톱 메들리'의 일부 정도로 밖에 들리지 않았다. 영화 내내 시도 때도 없이 흥얼거린 바람에 음악이 주는 감동이 대단히 약해졌던 것이다.

감동은 커녕 오히려 객석에선 낄낄거리는 웃음소리까지 들렸다. 스테이지 공연에선 이상할 게 없지만 영화로 보려니 어색해 보였던 듯 하다. 일부 관객들은 등장 캐릭터들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이해가 안 간다는 듯 "WHAT?"을 연발하며 낄낄거리기도 했다.

분위기를 깨는 데 한 몫을 톡톡히 한 배우 중 하나는 러셀 크로우다. 휴 잭맨과 앤 해서웨이, 매리어스 역의 에디 레드메인(Eddie Redmayne), 에포닌 역을 맡은 사만다 박스(Samantha Barks) 등은 별다른 문제가 없어 보였는데, '레 미제라블'에서 가장 중요한 캐릭터 중 하나인 자베르 역을 맡은 러셀 크로우가 노래를 부르기만 하면 분위기가 깨지곤 했다. 노래를 못 불러서가 아니라 그가 노래를 부를 때의 목소리가 워낙 박력이 없어서 자베르와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영화배우에게 성악가 수준의 노래 실력을 기대하는 건 아무래도 무리란 점은 잘 알지만, 크로우의 목소리가 유독 귀에 거슬렸던 것은 사실이라고 해야겠다. 만약 크로우에게 노래를 하지 않는 자베르 역을 맡겼다면 아주 멋진 선택이었을 듯 하지만, 대사가 100% 노래인 영화에 그를 자베르 역으로 캐스팅한 것은 문제가 있어 보였다.

그래도 물론 귀에 익은 좋은 곡들은 여전히 많이 나왔다. 노래가 너무 많이 나온 게 흠이긴 했어도 노래가 나빴던 것은 절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스테이지 뮤지컬에 나오지 않았던 신곡 'Suddenly'를 장 발장(휴 잭맨)이 부르기도 했다. 휴 잭맨이 부른 'Suddenly'는 아카데미 주제곡 부문에 노미네이트될 것으로 예상되는 곡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 미제라블' 오리지날 사운드트랙을 구입하려 하면 영화 버전이 아닌 오리지날 스테이지 버전 사운드트랙 쪽으로 손이 간다. 휴 잭맨, 앤 해더웨이 등도 잘 불렀다고 생각하지만, 오리지날 스테이지 버전을 구입하고 싶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그 이유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마디로, 느낌이 다르니까. '레 미제라블' 영화 사운드트랙 앨범은 '아메리칸 아이돌(American Idol)' 앨범처럼 들리는 반면 스테이지 사운드트랙 앨범은 프로들이 부른 곡이라는 게 바로 느껴진다.

그렇다.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은 여러모로 만족스럽지 않았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영화의 세계에 빠져들 수 없었고, 팔짱을 낀 채로 앉아서 영화가 빨리 끝나기만을 묵묵히 참고 기다릴 수밖에 없는 "MISERABLE"한 처지가 됐다. 영화의 제목이 너무 과하게 와 닿았다고 할까?

그렇다면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 볼 게 있다 - 만약 '레 미제라블'이 뮤지컬이 아니었다면 어땠을까?

노래 부르기를 뺀 일반 영화로 만들었다면 아마도 상당히 멋진 작품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원작소설이 유명한 데다 출연진도 훌륭했으므로 걸작이 나왔을 듯 하다. 물론 뮤지컬이 아닌 일반 영화로 만들면 스테이지 뮤지컬에 나왔던 유명한 곡들이 빠진다는 점이 아쉽겠지만, 이번 '레 미제라블' 영화에서 가장 맘에 들지 않은 것이 노래를 부르는 씬이 너무 많이 나왔다는 점이므로 곡 수가 좀 줄어들거나 전부 다 없어진다고 해서 크게 아쉬울 것 같진 않다.

그러나 빅터 휴고의 원작소설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테이지 뮤지컬을 영화로 옮겼다는 점이 더 중요했던 만큼 뮤지컬 쟝르에서 벗어나긴 힘들었을 것이다. "원작소설을 각색한 또 하나의 '레 미제라블' 영화가 아니라 스테이지 뮤지컬을 영화로 옮겼다"는 점이 중요한 이유로도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을 듯 하다. 아카데미 등 앞으로 있을 무비 어워즈 시즌도 의식했을 것이다.

하지만 차라리 뮤지컬이 아니었다면 훨씬 더 나았을 것 같다는 생각엔 변함 없다. 영화 '레 미제라블'은 완성도는 높아 보여도 마지막까지 참고 견디기 어려운 뮤지컬 영화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뮤지컬' 파트만 빼면 대단한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아무래도 '레 미제라블' 뮤지컬은 이번에 개봉한 영화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즐기는 게 보다 나을 듯 하다.

 홈 엔터테인먼트로 '레 미제라블' 10주년과 25주년 기념 콘서트를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25주년 기념 콘서트는 DVD, 블루레이, 디지털 포맷 등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물론 직접 스테이지 뮤지컬로 보는 것이 최고일 것이다. '레 미제라블' 스테이지 뮤지컬은 현재 워싱턴 D.C 등 여러 지역에서 공연 중이다. 스테이지 뮤지컬이 영화보다 입장료가 비싸지만 보다 나은 '레 미제라블' 뮤지컬을 보고 싶은 사람들은 영화보단 스테이지 뮤지컬을 선택하는 게 훨씬 나을 것이다.

뮤지컬 같은 데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이번에 개봉한 '레 미제라블'은 피하는 게 좋을 것이다. 스테이지 오리지날과 비교하는 재미마저 없이 이 영화를 마지막까지 흥미진진하게 보기 어려울 것이다.



댓글 없음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