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월 4일 금요일

다니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는 남성들이 동경할 만한 캐릭터인가?

제임스 본드 시리즈가 50년이 넘도록 계속될 수 있었던 데는 남성 팬들의 역할이 대단히 크다. 대부분의 본드팬들이 남성이기 때문이다. 남성들이 007 시리즈에 열광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남성들이 좋아하는 것, 관심있는 것, 부러워할 만한 것들을 집대성한 시리즈가 바로 제임스 본드 시리즈이기 때문이다. 깊게 들어갈 것도 없다. 섹시한 본드걸, 멋진 고급 자동차, 그리고 각종 최신 가젯 등 007 시리즈에 빠짐없이 단골로 나오는 몇가지만 보더라도 007 시리즈가 왜 '남성들의 판타지'로 불리는 지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007 시리즈는 이처럼 남성 판타지의 세계를 기반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007 시리즈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단어가 하나 있다면, 그것은 바로 'ESCAPISM'이다.

이는 이언 플레밍(Ian Fleming)의 원작소설부터 마찬가지였다. 2차대전 직후 전쟁으로 파괴된 영국에 살던 영국인들은 고급 술과 음식을 즐기면서 섹시한 미녀와 함께 멋진 자동차를 타고 익사이팅한 어드벤쳐를 즐기는 제임스 본드 소설을 읽으며 힘든 현실세계에서 벗어나곤 했다.  많은 남성들은 멋지고 고급스러운 생활을 하면서 섹시한 여자들과 언제나 함께 하는 제임스 본드를 동경하기 시작했다. 특히 나이가 어린 틴에이저들은 더욱 그랬다. 플레밍은 그가 창조한 제임스 본드가 틴에이저들이 열광하는 액션 히어로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았지만, 제임스 본드 소설을 읽은 소년들은 '나도 제임스 본드처럼 되고 싶다'는 상상을 하면서 007 시리즈의 세계에 매료되었다.

1962년부터 시작된 오피셜 007 영화 시리즈도 마찬가지다. 영화 시리즈는 소설보다 남성 판타지 성격이 더욱 짙어졌다. 오피셜 007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제임스 본드 역을 맡게 된 스코틀랜드 출신 배우 숀 코네리(Sean Connery)가 원작소설의 제임스 본드처럼 명문 학교를 나온 상류층 해군 장교의 모습과 거리가 멀었던 바람에 소설가 이언 플레밍과 영화감독 테렌스 영(Terence Young) 모두 코네리의 캐스팅을 탐탁치 않아 했지만, 결국 코네리는 전세계 남성들이 동경하는 멋진 제임스 본드로 재탄생했다.


007 시리즈가 원래 남성 판타지의 세계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영화 속 제임스 본드 캐릭터는 대부분의 남성들이 동경할 만한 캐릭터이어야 한다는 점이 대단히 중요하다. 바로 이것이 지금까지 50년간 007 시리즈를 계속되게 한 원동력 중 하나이기도 하다. 제임스 본드 시리즈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남성 매거진, 플레이보이(Playboy)를 영화로 옮겨놓은 것처럼 보일 정도로 여자, 자동차, 가젯, 여행, 어드벤쳐 등 남성들이 좋아할 만한 관심사들을 모아놓은 듯 보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많은 남성 본드팬들이 실제로 입을 일이 별로 없는 흰색 턱시도 재킷을 구입하고, 영화에서 제임스 본드가 사용했던 시계, 자동차 등에 관심을 갖고, 제임스 본드가 마셨던 술을 똑같이 만들어 마셔보는 이유 모두가 '제임스 본드처럼 되어보고픈 욕구'에서 시작한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조금 바보스러운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골치아픈 현실세계에서 벗어나고픈 욕구와 제임스 본드처럼 살아보고픈 욕망이 007 시리즈를 50년이 넘도록 달리게 만든 메인 엔진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1965년작 '썬더볼(Thunderball)'의 주제곡 가사를 읽어보면 007 시리즈가 얼마 만큼 남성 판타지 영화인지 실감할 수 있다.

He always runs while others walk.
He acts while other men just talk.
He looks at this world and wants it all.
So he strikes like Thunderball...

He knows the meaning of success.
His needs are more so he gives less.
They call him the winner who takes all.
And he strikes like Thunderball...

Any woman he wants, he'll get.
He will break any heart without regret.

His days of asking are all gone.
His fight goes on, and on, and on.
But he thinks that the fight is worth it all.
So he strikes like Thunderball...


그렇다면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 볼 게 있다 - 과연 다니엘 크레이그(Daniel Craig)의 제임스 본드는 남성들이 동경할 만한 캐릭터일까?

다니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 캐릭터에 가장 큰 물음표가 붙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여기다. 남성 관객들이 다니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를 보면서 과거처럼 '나도 제임스 본드가 되고 싶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미국의 영화 평론가들은 "다니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는 '나도 제임스 본드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도록 만들지 않는다"는 점을 최대 문제점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 캐릭터가 대다수 남성들의 동경을 살 만큼 쿨하지 않다는 것이다. 크레이그의 본드는 매번 얻어터져 피를 흘리고, 고급스럽고 여유있는 삶을 즐기는 낭만적인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보니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는 한 번쯤 되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물론 크레이그가 이전 제임스 본드보다 평범한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과거 로저 무어(Roger Moore) 시절의 제임스 본드처럼 모든 것에 만능인 '미스터 퍼펙트'가 아니라 실수할 때도 있고 때로는 괴로워할 때도 있는 평범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제임스 본드라는 캐릭터는 무작정 평범해져도 곤란하다. 제임스 본드 캐릭터부터 시작해서 모든 제임스 본드의 세계가 'LARGER THAN LIFE'이며, 남성들이 봤을 때 '나도 저렇게 한 번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만큼 쿨하고 스타일리쉬한 면이 강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딜레마다. 보다 사실적이고 평범한 제임스 본드를 표현할 필요성이 있으면서도 무조건 별볼일 없어 보이는 평범한 사나이로 만들 수도 없기 때문이다.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는 흔해 빠진 미국산 액션영화의 주인공이 전부였을 뿐 '영국 상류층 해군장교 출신 에이전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어둡고, 진지하고, 완벽하지 않은 캐릭터를 보여준다는 것까진 좋아도 그래도 여전히 제임스 본드는 제임스 본드다워야 하는데, 007 제작진은 그들이 원하는 '변화'를 위해 제임스 본드 캐릭터를 편리한대로 뜯어 고쳤다. 007 제작진은 거칠고, 완벽하지 않고, 다듬어지지 않은 제임스 본드를 만드는 것에만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를 불쌍하고 없어 보이는 캐릭터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007 시리즈 23탄 '스카이폴(Skyfall)'에선 제임스 본드를 유년기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PTSD 환자'를 만들어 놓기도 했다.


이것 또한 헐리우드 트렌드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요새 나오는 헐리우드 영화에선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강한 남성 캐릭터가 사라진 대신 쫓기고, 누명을 쓰고, 번뇌하는 캐릭터가 더 많이 눈에 띄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설정이 제임스 본드 시리즈에 필요한 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어쩌다 한 번 정도는 이해할 수 있어도 계속해서 이렇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러한 제임스 본드 캐릭터가 나름 색다르고 흥미롭게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제임스 본드 영화를 진지하게 만들기 위한 좋은 방법은 절대 아니다. 007 시리즈를 진지하게 만들려면 실제로 발생할 수 있을 법한 그럴싸한 스파이 스토리를 마련해야지 찌질거리는 제임스 본드의 드라마로 가는 건 올바른 방향이 절대 아니다. 으스대고, 뺀질거리고, 실패라는 것을 모르는 '미스터 퍼펙트' 제임스 본드 캐릭터를 보다 점잖고 보다 사실적으로 보이는 캐릭터로 바꾸는 것까진 문제될 게 없으나 전세계 남성 본드팬들의 동경의 대상인 제임스 본드 라이프스타일까지 우울하고 음침하게 바꾸는 건 대단히 잘못된 방법이다.

그러나 "제임스 본드를 술과 담배를 심하게 즐기는 캐릭터로 묘사하라"고 하면 007 제작진은 제임스 본드를 '폐인'을 만들어 놓을 것이며, "고급 술과 고급 음식을 즐기며 경치가 좋은 관광명소들을 자주 방문하게 되는 등 임무 수행을 함과 동시에 부티 나는 삶을 즐기는 여유있는 모습도 보여주라"고 하면 이들은 과거 로저 무어의 제임스 본드로 바꿔놓으려 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극에서 극으로 왔다갔다 하고 있는 게 바로 007 제작진이기 때문이다.

제임스 본드가 여유있는 삶을 즐기도록 설정한다고 어둡고 복잡한 캐릭터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것도 아니다. 이언 플레밍의 소설에 등장하는 제임스 본드가 바로 그러한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소설의 제임스 본드는 술, 담배, 도박을 즐기며 건강을 챙기지 않는 타잎이지만 그렇다고 폐인처럼 사는 것은 아니며, 그와 정 반대로 상당히 고급스러운 생활을 즐긴다. 여기까지는 제임스 본드를 창조한 영국 소설가 이언 플레밍과 거의 완벽하게 겹친다. 플레밍도 제임스 본드와 마찬가지로 술, 담배, 여자를 매우 좋아했으며,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명문 학교를 마치고 2차대전 당시 해군 중령으로 해군 정보부에서 근무한 경력도 있다. 또한 플레밍은 세계 여행을 자주 했으며, 당시 부자들이나 갖고 있었다던 자메이카 별장도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제임스 본드의 호사스러운  라이프스타일은 플레밍과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플레밍은 여기에 용맹스러운 특수부대원의 이미지를 보태면서 제임스 본드 캐릭터를 완성시켰다. 제임스 본드의 스타일리쉬한 라이프스타일은 이언 플레밍의 것이고 '액션맨'의 모습은 영국군 특수부대원의 모습인 것이다. 제임스 본드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험한 일이 직업인 만큼 어두운 구석이 있는 사나이지만, 언제 끝날지 모를 인생을 즐길 줄도 안다. 본드는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타잎이 아니며, 한 차례 오부지게 망가진 적이 있지만 이것은 여자 문제(아내가 살해당한 사건) 때문이었지 그의 직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다니엘 크레이그에게선 이러한 제임스 본드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크레이그가 제임스 본드를 맡은 이후부터 크레이그 뿐만 아니라 007 제작진도 '이언 플레밍의 원작' 타령을 수시로 늘어놓고 있지만, '카지노 로얄(Casino Royale)' 이후부턴 원작의 제임스 본드를 발견하기 힘들어졌다. 크레이그가 호사스러운 생활을 하는 상류층 캐릭터로 잘 어울리지 않는 것도 사실이지만, 더욱 큰 문제는 그러한 캐릭터로 보이기 위해 노력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아마도 007 제작진이 '카지노 로얄'의 줄거리를 연장시키면서 갓 00 에이전트가 된 '초보 제임스 본드'를 주인공으로 한 시리즈를 구상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애초부터 크레이그에게 세련되고 안정적인 제임스 본드를 맡길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계획이 두 번째 영화 '콴텀 오브 솔래스(Quantum of Solace)'로 무산되자 007 제작진은 세 번째 영화 '스카이폴'에선 슬쩍 방향을 틀면서 트릴로지를 엉거주춤하게 마무리지을 수밖에 없었다.

007 시리즈가 이런 식으로 제작되다 보니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는 빛을 볼 날이 없다. 크레이그의 본드 캐릭터가 항상 어딘가 부족해 보이는 데가 있는 듯 한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

숀 코네리도 세련되고 호사스러운 제임스 본드와 거리가 멀어도 한참 먼 배우였다. 그러나 코네리는 그의 첫 번째 본드 영화 '닥터 노(Dr. No)'에서 세련된 젠틀맨으로 변신하는 데 성공했고, 그의 세 번째 영화 '골드핑거(Goldfinger)'에선 이미 완벽하게 제임스 본드가 되어있었다. 당시엔 007 제작진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분명하게 알고 있었으므로 007 시리즈를 일관되게 이어나갈 수 있었고, 이 덕분에 코네리도 제임스 본드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코네리의 제임스 본드는 60년대 당시 청소년들의 우상이 되었으며, 섹시한 미녀와 멋진 자동차 등 제임스 본드의 스타일리쉬한 라이프스타일은 전세계 남성들의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60년대 플레이보이 매거진에도 제임스 본드 소설, 본드걸 누드 화보 등이 자주 실리곤 했다.

그러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는 이것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도 이것을 해야만 하는데 아직까지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다. 크레이그는 계속해서 그와 잘 어울리지 않는 캐릭터를 어색하게 연기하고 있을 뿐 아직도 제임스 본드다운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크레이그의 영화들은 남성 판타지적인 요소도 크게 부족하고, 격렬한 액션을 빼면 남는 게 얼마 없는 영화가 됐다. 007 시리즈는 화끈한 액션 씬으로 소문난 영화 시리즈가 결코 아니지만, 크레이그의 본드 영화들은 액션 빼면 없는 평범한 액션영화가 됐다.

그러므로 007 제작진은 크레이그의 본드 영화를 위험과 낭만, 격렬함과 글래머러스함이 공존하는 쪽으로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 바로 이것이 007 시리즈를 50년이 넘도록 계속될 수 있도록 만든 포뮬라이므로, 크레이그의 진지한 스타일을 계속 살리되 호사스럽고 밝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완전히 걷어내려 해선 안 된다. 과거처럼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관광명소들을 주로 찾아다니던 데서 벗어나 크게 특별하지 않아 보이는 평범한 로케이션만을 찾는 것도 의도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굳이 이렇게까지 화려함과 낭만스러움을 벗겨내려 할 필요도 없다. 현재 다니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에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가 약간의 느긋함과 여유로움이란 점을 잊어선 안 된다. 항상 피곤하고 삶에 재미가 없어 보이는 캐릭터를 본드팬들이 원하지 않는다는 점도 역시 잊어선 안 된다.

무엇보다도 007 제작진이 명심해야 하는 건, 제임스 본드는 누가 뭐래도 제임스 본드다워야 한다는 점이다. 제임스 본드가 지금과 같은 인기 캐릭터가 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인은 007 시리즈만의 독특한 특징이 있었기 때문이다. 비슷비슷한 캐릭터들이 많은 데도 유독 제임스 본드가 눈에 띄는 이유도 007만의 뚜렷한 특징 덕분이다. 단지 제임스 본드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유명 캐릭터와 인기 프랜챠이스 모두 그들 만의 뚜렷한 개성과 특징이 있다. 이게 없으면 눈에 띌 수 없다. 그런데 007 제작진은 다니엘 크레이그의 영화들에서 제임스 본드와 007 시리즈의 독특한 개성과 특징을 지우면서 그 흔해 빠진 '프리퀄 트릴로지'를 완성하는 데 바빴다. 이것은 '새로운' 제임스 본드를 탄생시키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다니엘 크레이그가 과거 숀 코네리, 로저 무어처럼 영국의 수퍼 스파이로 보이지 않고 미국의 평범한 액션영화 주인공처럼 보이도록 만들고 있을 뿐이다. 그 유명한 영국 스파이가 최근에 와선 한 번은 제이슨 본(Jason Bourne), 한 번은 배트맨 흉내를 내고 있으니 말이다. 이번 '스카이폴'을 보더라도, 주연배우와 영화감독은 영국인이었지만 영화 자체는 평범한 미국산 액션영화일 뿐이었다. 제임스 본드는 개성이 뚜렷한 영국산 수퍼 히어로였는데, 가면 갈수록 흔해 빠진 미국산 수퍼 히어로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007 제작진이 이 문제를 현명하게 바로 잡지 않는다면 007 시리즈가 대단히 이상해질 수 있다. 다니엘 크레이그의 뒤를 이을 새로운 영화배우로 제임스 본드가 교체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말썽이 생길 수도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007 제작진은 21세기 제임스 본드를 좀 더 분명하게 완성시킬 필요가 있다. 무조건 다르게만 하려는 것으론 크게 부족하다. 21세기 시대에 어울리면서도 여전히 분명한 제임스 본드의 개성을 지닌 캐릭터로 완성시킬 필요가 있다.

어찌됐든 간에 이번 '스카이폴'로 억지로나마 그 빌어먹을 '프리퀄 트릴로지'를 완성한 만큼 다음 번 영화는 보다 본 궤도 쪽에 가까워질 것으로 (희미하게나마) 기대되기도 한다. 하지만 플레밍의 원작소설이 모두 동난 이후부터 지적받아온 부실한 스토리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스토리가 우스꽝스러워질 가능성은 여전히 활짝 열려있다. 007 시리즈를 만드는 데 아주 심오하고 대단한 스토리가 필요한 것도 아니지만, 제작진은 나름 그럴 듯 하면서도 007 시리즈와 잘 어울리는 스토리를 찾아내는 데 상당히 애를 먹는 듯 하다. 위험과 낭만이 공존하면서도 다니엘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와 어울리는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사람들이 007 제작진에 합류한다면 바로 크게 나아질 수 있어 보이지만, 유감스럽게도 그런 인물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는 게 문제다. 007 시리즈의 멋과 전통을 이어가면서 다니엘 크레이그 버전 제임스 본드의 개성을 효과적으로 살리는 방법을 아직도 제대로 찾지 못했으니 말이다.

제작진이 007 시리즈를 안정적으로 이끌지 못하고 이리 튀고 저리 튀고 하는 것을 보면 007 시리즈도 막을 내릴 때가 가까워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게 사실이다. 더이상 아이디어도 없고 자신도 없어 보여서다.

'본드24'는 이런 생각이 들지 않게 하는 영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 6개 :

  1. 본드 팬이신가봐요! 정보 찾다가 굴러들어왔네요. 확실히 다니엘 크레이그 본드는 남자보단 여자에게 어필하는 점이 있는것 같아요. 개인적으론 피어스 브로스넌 본드가 비주얼로는 최강이라 생각하는데 다니엘 본드 보다보니 어느새 본드 하면 다니엘 크레이그가 떠오르더라구요. 나중에 캐스팅 바뀌면 또 그사람으로 이미지 굳어질 것 같긴 하지만..ㅎㅎㅎ
    아무튼 퀀텀은 말할것도 없고 스카이폴도 흥행에는 성공했다고 하는데 전 별로였던지라 다음 본드는 제대로 나왔으면 좋겠네요ㅠㅠㅠ 다니엘 크레이그도 연기 잘하는 배우인데 연기도 좀 볼 수 있었으면 좋겠구요....
    사실 궁금한게 있었는데, 본드 팬이신것 같아서 여쭤봐요....이번 스카이폴은 카지노 로얄 트릴로지라 하긴 조금 무리가 있지 않나요? 전 50주년 기념작으로 만든거라 듣고 외전격으로 생각했었는데 아닌가요...? 소설로는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는데 앞 내용들은 본드 초창기고 스카이폴은 퇴물같은 이미지를 너무 어필해서 그런가 이어지는거라 생각하지 않았는데 아닌가보죠? 궁금하네요ㅠㅠㅠㅠㅠ

    답글삭제
  2. 줄거리가 계속 이어지지 않았으므로 카지노 로얄 트릴로지라고 하긴 무리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줄거리만 이어지지 않았을 뿐 세계는 계속 이어졌으므로 프리퀄 트릴로지의 완결편 격이라 생각합니다.
    전편들에 나오지 않았던 Q, 머니페니가 스카이폴에서 처음 소개된 것도 프리퀄 완결편 의미라고 보거든요.
    스카이폴 마지막에 와서야 우리가 과거에 알던 제임스 본드의 세계가 완성된 셈이죠.
    친숙한 M의 오피스를 보여주면서 영화를 마친 의도가 스카이폴로 프리퀄 파트가 끝났다는 의미 같았거든요.
    그래서 카지노-콴텀-스카이폴을 '제임스 본드 비긴스' 트릴로지로 묶어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음 번 본드24부턴 앞서 나온 세 편의 영화와 차이가 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원래 007 영화 시리즈는 줄거리가 계속 이어지는 방식의 시리즈가 아니거든요.
    그러므로 다음 번부턴 이어지는 듯한 느낌이 보다 덜하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답글삭제
  3. 오히려 다니엘 크레이그의 본드가 새로운 팬층을 더 형성한듯 합니다 본드시리즈에 관심도 없던 여성들이 카지노로얄때부터 다니엘이 연기한 본드에 빠졌으니까...
    영화도 하나의 트렌드이기 때문에 계속 변화해야죠.
    저도 카지노때부터 눈여겨 보기 시작했거든요 전작은 관심도 없으면서.. 본드시리즈 자체가 변화를 거듭하는 시리즈니 다음 시리즈도 충분히 기다려 봄직해요~

    답글삭제
  4. 배우와 캐릭터는 구분해야 된다고 봅니다. 이 글은 크레이그의 본드 캐릭터에 관한 글입니다.
    배우 다니엘 크레이그엔 관심 없습니다. 코네리, 레이전비, 무어, 달튼, 브로스난 모두 마찬가집니다.
    크레이그가 여성팬을 좀 더 끌어들인 건 사실이지만 이건 크게 새로운 건 아닙니다.
    언제나 본드는 여성들이 거부하지 못하는 캐릭터였으므로 배우에게 모든 크레딧을 돌릴 순 없습니다.
    가슴성형한 비키니 모델처럼 근육 키우고 돌아다니는 것에 필요 이상의 포인트를 줄 필욘 없다고 봅니다.
    전작은 관심없고 크레이그부터 관심을 가졌다는 건 연령대를 나타내는 의미라고 봅니다.
    어렸을 때 처음 본 본드가 베스트 본드가 되는 경우가 많죠.
    제 경우엔 본드 영화를 극장에서 처음 본 지 30년이 넘었지만 로저 무어가 베스트 본드가 아닙니다.
    무어의 본드를 싫어하진 않지만 올바른 본드였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답글삭제
  5. 개인적으로 피어스 브로스넌 이나 로저무어 보다는 티모시달튼이 가장 숀코넬리와 가까운 본드로 보입니다 그리고 단한편으로 끝낫던 죠지라젠비도 가장 훌륭했던 본드역이었죠
    그러나 로저무어와 피어스 브로스넌 의 단점이라면 숀코넬리의 과격햇던 액션 요소보다는 유머와 신사스러운 그런 면모만 취급한 본드 시리즈를 만들어기 때문이죠 그러나 액션과 유모 모두를 포함한
    배우를 꼽으라면 죠지라젠비와 티모시 달튼의 경우가 가장 숀코넬리와도 일치하는 본드가 아닌가 싶네요 그러나 최근 다니엘의 경우는 유머를 뺀 숀코넬리의 과격한 액션에만 치중을 한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유머가 없죠 그래서 본드다운 본드는 아니었던것같구요 다니엘의 단점은 더있죠
    제작자 측은 처음 본드가 걸어나와 총을 쏘고 붉게 화면이 물들었던 장면이 나온다음 오프닝이 시작되고 오프닝이 끝난뒤 다시 본 주제곡이 나오고 그다음에 본영화가 시작되었던 전통마저 부숴버렸다는 겁니다 그것은 본드영화 팬으로서 상당히 반감을 살수있는 대목입니다. 그런 전통은 지켜야 하는겁니다
    그리고 반감을 사는 요소중 아주 큰것이 있는데 예전처럼 블로펠트,006(17편악당)등과 같은
    강력한 보스 악당이 없다는 것이 그것이죠

    답글삭제
    답글
    1. 코네리 이후 젠틀맨과 터프가이의 두얼굴을 가진 본드 캐릭터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무어는 너무 젠틀맨 쪽으로 치우쳤고 크레이그는 너무 액션맨 쪽으로 치우쳤죠.
      달튼은 진지하고 생각이 깊어 보이는 본드 캐릭터를 선보여 본드팬들을 만족시켰구요.
      특히 플레밍 원작을 읽어본 본드팬들로부터 환영을 받았었죠.
      크레이그의 본드에 걸었던 기대는 평범한 MI6 요원이면서도 멋진 경험을 하는 에이전트였죠.
      과거의 본드 캐릭터가 지나치게 과장된 면이 있었으므로 여기서 변화를 줄 수 있었습니다.
      캐릭터가 평범해졌다 해도 턱시도 입고 디너파티에 갈 기회까지 사라지는 건 아니죠.
      평범한 본드도 멋진 관광명소를 갈 수 있고 거기서 미녀들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리얼하면서도 수퍼히어로여야 하는 등 여러 조건에 맞추려다 보니 이상해진 듯 합니다.
      변화를 주더라도 조건이 붙다보니 제대로 변화를 못주고 엉거주춤하게 되는 거죠.
      이렇다 보니 크레이그의 본드 캐릭터도 다르다 다르다 하면서도 미적지근할 수밖에 없습니다.
      리얼하고 사실적이고 어쩌구 온갖 수식어 갖다 붙여도 결국 수퍼히어로 시늉하지 않습니까...
      말씀하신 건배럴씬 위치를 바꾼 것도 뭔가 달라보이게 만들려 한 의도로 보고 있습니다.
      정해진 범위에서 변화를 주려는 건 좋은데, 뭘 유지하고 뭘 바꿔야 하는지 모르는 듯 합니다.

      유머는 사실 크레이그에게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습니다. 어울리지도 않아 보이구요.
      다만 이전 글에 썼던 것처럼 MI6 오피스 멤버들이 부족한 유머를 대신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크레이그의 본드영화는 본드 뿐만 아니라 MI6 오피스도 유머가 매말라 있습니다.
      그래서 MI6 오피스 멤버 중에 코믹 릴리프 역할을 맡을 캐릭터가 필요하다고 봤는데,
      스카이폴을 보니 계속 건조하고 따분한 쪽으로 가려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억지로 웃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넣은 게 너무나도 뚜렷하게 보이는 말장난 몇 개가 전부였죠.

      액션과 악당 부분은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이에 대해 별도의 포스팅을 생각 중입니다.

      삭제